물가에 설치한 통발을 끌어당기자 물고기 수십 마리가 풍기는 비린내가 올라왔다. 묵직한 통발 입구를 열자 누렇고 납작한 물고기가 기세 좋게 펄떡거렸다. 외국에서 왔지만 지금은 전국의 하천을 점령한 그 녀석, 블루길(파랑볼우럭)이다. <br /> <br /> 지난해 말 경기 양평군 남한강 변에서는 외래종 어류 퇴치 작업 준비가 한창이었다. 두꺼운 외투를 껴입고 현장에 갔지만, 거센 강바람에 금세 한기가 돌았다. 손때 묻은 방한 도구로 무장한 어업인 김 모(60) 씨는 "배 위에선 몇배로 춥다"며 기자의 작업복을 단단히 여며줬다. <br /> <br /> #자세한 스토리는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━<br /> 어망 가득 블루길 뿐…생태계 잠식 <br /> <br /> 조업이 뜸한 추운 날씨에 이들이 강변으로 나선 건 블루길 때문이다. 먹을 게 부족하던 1969년, 정부는 단백질 공급원을 늘리기 위해 해외에서 블루길을 들여왔다. 하지만 국민의 배를 든든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했던 블루길은 '맛없는 물고기'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천덕꾸러기 신세가 됐다. <br /> <br /> 식용으로 외면받아 포획이 줄어든 블루길은 빠르게 개체 수가 늘었다. 외래종이라 천적도 없었기 때문에 수를 줄일 방법도 마땅치 않았다. 같은 종도 잡아먹을 만큼 식성이 왕성한 블루길은 붕어 등 토착종의 치어까지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다. 1998년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됐다. <br /> <br /> '생태계 파괴자' 블루길은 얼마나 우리 생태계를 잠식하고 있을까. 배를 타고 10분 정도 나가 설치해 둔 통발을 걷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24001581?cloc=dailymotion</a>